편집 : 2024-04-15 09:26 (월)
중경고 최운범 감독 “이대로는 학원 축구 고사(枯死) … 상생 방안 찾아야 ”
중경고 최운범 감독 “이대로는 학원 축구 고사(枯死) … 상생 방안 찾아야 ”
  • 전상일 기자
  • 승인 2018.03.05 1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대회 수 늘려야 … 대학 입시 반영 안되는 주말리그 유지 이유 없어”

4년 만의 전국대회 우승을 이끌어낸 서울 중경고등학교 최운범 감독(52).

그는 2000년에 중경고 코치로 부임한 이후 2004년부터 지금까지 중경고 감독을 역임해온 중경 축구의 대부다. 백운기 결승전 이후 첫 훈련 날 만난 그의 인상에는 따사로운 봄바람이 스며있는 듯 했다. 4년만의 전국대회 우승. 그것도 올 시즌 첫 대회에서 우승 했으니 그럴 만도 하다.

숫눈 녹듯이 사르르 풀린 포근한 날씨와 눈이 아플 정도로 강렬하게 내리쬐는 햇살이 가득 들어찬 효창운동장. 오랜만에 좋은 날씨에 넓은 그라운드에 들어서니 가만히 앉아있기 힘들었던 것일까. 최 감독은 준비운동도 없이 선수들의 패스 연습에 참여하며 노익장을 과시했다.

가쁜 숨을 들이마시며 잠시 벤치에 앉은 최운범 감독. 사람 좋게 웃던 그가 학원축구 제도와 환경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자 태도가 돌변했다. 최근 ‘학원축구의 위기’가 화두다. 작년 11월에는 축구회관 앞에서 2시간여 동안 학원 축구 지도자들의 가두시위가 이어지기도 했다. 그는 작심한 듯 축구협회 등에 대해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그가 뿜어내는 사자후는 온화한 인상과 대비되어서 더욱 강렬하고 격정적으로 느껴졌다.

 

효창운동장에서 만난 서울 중경고등학교 최운범 감독

 

다음은 일문일답

 

▶ 먼저 우승 소감부터 이야기 해 달라.

2018년 시작하는 첫 대회에 아이들이 열심히 뛰어줘서 너무나도 기쁘고 고맙다. 이번 대회는 준비가 잘 되어있었다. 사실 동계훈련을 떠나기 전만 해도 1월에 대회를 치르는 것은 상상도 못 했다. 그런데 아이들을 살펴보니 지금이 더 낫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에 백운기 대회에 참가를 결정했다.

 

▶ 한양공고가 프로산하 세 팀을 격파하고 올라왔다.

매 경기의 한양공고에 대해 분석을 해 왔다. 모든 경기를 찍고 매일 선수들과 비디오 미팅을 했다. 프로산하 팀들을 이기고 올라온 과정들을 속속들이 보여주고 그들의 장단점을 귀가 닳도록 이야기를 했다.

 

▶ 이번 대회에 스리 백을 채택하게 된 이유가 궁금하다

중경에 있으면서 10여 년간 포백을 고집했다. 하지만 올해는 그럴 수 없었다. 수비는 고학년에서 축이 되어서 지탱을 해줘야 한다. 그런데 우리 팀은 3학년 중앙수비수가 1명밖에 없었는데 그 선수가 부상을 당했다. 그것이 스리백이 나오게 된 배경이다. 비록 2학년들이지만 중학교 때 잘했던 선수들이고 또한 수비를 맡았던 선수들이 2학년답지 않게 노련하더라. 그래서 한번 믿고 맡겨봤는데 그 믿음에 너무 잘 보답해줬다.

 

▶결승전의 구체적인 전략을 알려 달라.

최근 우리 팀을 상대로는 수비진이 내려섰다가 빠른 역습을 노리거나 강한 프레싱을 하면서 우리의 미들을 저지하는 팀들이 많아 졌다. 거기에 대비해서 우리는 역으로 플레이를 했다. 아예 우리가 전방에서 강한 프레싱을 해보자고 강조를 했다. 작년 추계대회에서부터 미리 주문을 해 왔다. 우리 팀은 개인 능력이 탁월했으나 선수들의 활동량이 부족해서 역습을 당하는 부분이 많았다. 그런데 지금 있는 선수들은 묵묵히 열심히 뛴다. 그래서 선수들에게 그런 주문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했다. 그 전략이 아주 잘 먹혔다. 

 

선수들과 함께 훈련을 하고 있는 최 감독

 

▶화제를 돌려보도록 하겠다. 현재 학원 축구가 위기라는 이야기가 많이 들린다.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단 전국대회의 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들리는 바로는 문체부에서 학기 중에도 전국대회 시합을 할 수 있도록 대한축구협회에 건의 했다고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나 대한축구협회는 일선에 있는 협회장들과 합의를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기존 제도대로 갈 것이라고 결정을 했다고 들었다. 과연 그들이 어린 학생들을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학생들이 있어야 대표 팀도 있고 프로도 있다. 

 

▶ 최근 프로산하의 강세가 너무 심한 것도 학원 축구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것 또한 문제다. 전국대회는 1년에 2개 밖에 못 나가는데 한 대회에서는 프로산하가 나온다. 옛날에는 프로산하가 팀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고교리그에 참여를 시켰는데 이제는 프로산하 팀도 많지 않나. 모든 팀이 U-18을 운영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은 그들끼리의 리그로 가는 것이 맞다.

‘프로산하’ 라는 것이 뭔가. 초·중·고 지역 연고 선수들을 체계적으로 키워서 그들을 프로 전력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프로산하 고등학교들이 그렇게 하고 있나. 연고 지역이 아닌 타 지방 등 전국의 우수한 선수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물론 돈을 주고 불법적으로 스카우트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학비면제, 전지훈련비 면제 등의 조건이니 아무래도 금전적인 영향이 크다. 이는 불공정한 스카우트다.

 

▶프로산하 구단으로 좋은 선수들이 몰리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사실 그렇다. 아이들이 환경적으로 좋은 곳에서 공을 차고 싶어 하는 마음이야 인지상정이니 그것까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전국의 좋은 선수들을 스카우트해서 데리고 갔고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면 그 아이들은 프로에서 흡수를 해줘야 한다. 그 선수들은 준프로이기 때문이다. 프로팀에서 U-20이나 U-23등의 유소년 리그를 따로 운영해서 산하 선수들을 흡수를 해줘야 하는데 한 팀에 2명가면 프로에 많이 가는 것이고 나머지는 전부다 대학에 간다. 이는 학원 축구에만 일방적으로 피해를 강요하는 것이다.

전국대회 8강에 못 들면 아예 수시는 쓰지도 못하고 서울에 있는 대학에 가려면 최하 준우승은 해야 한다. 그런데 그 소수의 대회를 전부 프로 산하, 그 중에서도 소수의 구단(현대고, 매탄고, 오산고 등)이 전부 다 쓸어가고 프로산하가 출전하지 않는 몇 개의 대회를 가지고 몇 백 개의 학교가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다.

고등학교 때부터 잘하는 선수도 있지만, 대학교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도 많다. 국가대표 선수 중에서도 그런 선수들이 많이 있지 않나. 그런 시간과 기회를 줘야하는데 달랑 두 대회를 프로산하랑 섞어놓는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전국대회의 수가 늘어야한다. 그래야 학원팀도 선택을 할 수가 있다. 

 

▶대학 스카우트 문제도 여러 가지로 논란이 많다.

대학에서도 감독들이 선수 스카우트 과정에서 금전 수수 등 여러 가지 잘못된 과정들이 있었던 것은 인정한다. 모든 지도자가 책임을 통감해야할 부분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소수의 잘못을 다수의 모든 지도자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 또한 잘못된 것 아닌가. 축구는 팀 스포츠다. 대학 감독들이 아예 선수선발 권한이 없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대학교수들이 성적 갖고 뽑고 실기시험 보면서 드리블 같은 기본기 조금 보고 그냥 뽑는다. 그러다보니 서류에 드러난 성적 즉 전국대회 성적에 더욱 목을 맬 수 밖 에 없다.

 

▶이런 부분이 대학축구의 위기와도 관련이 있지 않을까.

당연하다. 엊그제 통영에 대학 춘계대회를 보러 다녀왔다. 경기를 보고 있노라니 내가 여기에 왜 왔나 싶더라. 대학축구의 질이라는 것이 있는데 우리 아이들이 보고 배울 것이 없어 보였다. 전부 살고자하는 축구, 수비적인 축구만 하고 있더라. 최근 대학 축구의 수준에 대해서 말들이 많던데 나는 이것을 하향 평준화라고 생각한다.

 

작년 11월 축구회관 앞에서 시위를 하고 있는 지도자들(출처 : 연합뉴스)

 

▶위장 전입 문제도 축구계에서는 화두다.

나는 체육특기자들을 왜 특기자들이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위장전입에 대한 문제는 충분히 이해가 간다. 그러나 일반 학생들과 체육특기자 학생들은 또 다르다. 전입이 안 되면 아예 축구를 못 하게 하는 것은 문제다. 축구를 하기 위해 집 전체가 이사를 오지 않으면 축구를 하지 말라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그 근처에 학교나 클럽이 없으면 축구를 하지 말라는 것인가. 한국은 아직 그 정도까지 클럽축구가 발전되어있는 것도 아니고 클럽 축구 또한 많은 돈이 들어가기는 매한가지다. 축구를 하는 아이들은 지역에 따라서 쏠리지 않는다. 지도자와 학교를 보고 선택을 한다. 상생할 방안을 찾아야지 학원축구는 죽이고 무조건 클럽화로 간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청탁금지법으로 인해 아이들이 이제는 수업을 모두 들어야 한다. 이 또한 애로사항이 있을 듯하다.

수업에 대한 부분도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성이 있다. 물론 학생이 공부해야 한다는 것은 이해한다. 하지만 최소한의 특수성은 이해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체육특기자들은 여기에 모든 것을 매진하는데 4시 30분에 수업이 끝나자마자 바로 2시간 운동하고 끝낼 수 밖 에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환경도 프로산하나 클럽보다 안 좋은데 운동하는 시간마저 제약해버리니 어떻게 할 방도가 없다. 직접 와서 환경을 보지 않고 탁상공론만으로 민원과 여론만을 가지고 제도를 만들어버리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축구 지도자들은 주말 리그에 대해 많은 성토를 하고 있다.

주말 리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학입시에 주말리그가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에 있다. 어떤 대학에서도 주말 리그의 성적을 보지 않는다.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수시는 9월 인데 주말 리그는 그 이후에도 계속된다. 원래는 주말 리그가 시작되면 전국대회를 없애 도록되어있었다. 그러나 전국대회는 그대로 두어서 입시에 반영케 하고 아무 의미 없는 주말리그는 그렇게 목을 매는 현실을 이해할 수 가 없다. 나는 기어코 주말리그를 해야겠다면 주말리그는 저학년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 치르고 주중이나 밤에 서울에 있는 전국대회를 만들어서 치루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이런 척박한 환경에서 초중고 지도자들이 이정도 열심히 하는 것도 나는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고등축구연맹의 전종선 회장이 여러 가지로 상당히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우리 지도자들이 제도를 바꿀 수는 없으니 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수 밖 에 없다. 학원 축구는 대한민국 축구의 뿌리이고 현재 클럽이나 프로산하 고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숫자가 포진되어있다. 축구협회가 그들을 살리기 위한 제도를 고민해주었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