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 2024-03-28 20:20 (목)
비대면 시대, 홀로 된 예인들의 예술혼
비대면 시대, 홀로 된 예인들의 예술혼
  • 최유경 기자
  • 승인 2021.05.12 2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비대면 시대, 홀로 된 예인들의 빛나는 예술혼을 엿볼 수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고기석)은 오는 5월 13일(목)부터 15일(토)까지 민속악단(예술감독 지기학)의 정기공연 ‘홀로, 독(獨)’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홀로’가 된 예인들의 깊이 있는 ‘독공(獨工)’의 시간과 그 고뇌를 담은 무대를 선보임으로써 민속악단의 정체성과 각 단원들의 예술세계를 조망하기 위해 기획했다.

3일간에 걸쳐 민속악의 다채로운 장르를 소개하는 이번 공연은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가 음악적 이야기를 엮어가는 ‘판소리’(13일)를 시작으로, 민속음악의 기악 독주 장르인 ‘산조’(14일)와 앉은 자세로 홀로 연주하는 ‘민요‧가야금병창‧연희’(15일)가 차례로 무대에 오른다.

이번 공연의 첫 무대는 단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의 북장단에 맞춰 이야기를 전하는 ‘판소리’로 문을 연다. ‘판소리’는 시대를 불문하고 많은 이들에게 눈물과 웃음을 선사하며 희로애락을 함께 나눈 음악으로, 소리꾼은 자신의 인생을 여러 인물에 투영하며 관객과 소통한다.

13일 무대에 오르는 민속악단의 조정희, 염경애, 이주은, 유미리, 양명희, 정회석 명창은 판소리의 주요 대목인 ‘눈대목’이 아닌 소리꾼으로서 각자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대목인 ‘장기(長技)대목’을 전한다.

내면의 이야기를 악기로 전하는 예인들의 크고 작은 울림 ‘산조(散調), 하나에서 둘 그리고’ 민속악의 기악 독주곡 형태인 ‘산조’로 마련되는 14일 무대는 민속악단 연주자들의 음악적 색채를 엿볼 수있는 시간으로 꾸며진다. 이번 무대에서는 순수한 ‘산조’를 시작으로 ‘산조 병주’, ‘산조 삼중주’,  ‘산조 사중주’, ‘산조 합주’ 무대가 차례로 선보인다.

기악 연주자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산조’를 통해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드러내고, ‘병주’부터 ‘합주’에 이르는 연주를 통해서는 민속악단 예인으로서 ‘전통’을 조화롭게 지켜가는 깊이 있는 울림을 전할 예정이다.

문경아의 ‘가야금산조’를 시작으로 한민택(거문고), 김정림(해금)의 ‘산조 병주’, 원완철(대금), 배런(아쟁), 이선화(거문고)의 ‘산조 삼중주’, 윤서경(아쟁), 이재하(거문고), 이여진(가야금), 백다솜(가야금)의 ‘산조 사중주’에 이어, 민속악단 기악단원 15명의 ‘산조 합주’로 마지막 무대를 장식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