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후기 궁중예술 집약된 결정체, ‘신정왕후 팔순연’
수연장, 향령무, 연백복지무 등 현재는 행해지지 않는
궁중무용 복원할 수 있는 연구 결과 발표해
ㅇ 일시: 2019. 11. 30.(토) 15시
ㅇ 장소: 정효아트센터
ㅇ 주관: (재)정효국악문화재단
ㅇ 주최: 전통공연진흥재단
ㅇ 문의: 02-523-6268
ㅇ 참가비: 무료
ㅇ 세부 연구 발표 내용 (책임 연구자: 인남순)
No. |
발제 명 |
발제자 명 (소속/직급) |
1 |
정해 진찬의궤의 복원 재연의 성과와 의의 |
인남순 (한국전통문화연구원/원장) |
2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의 의주 |
안희재 (한민족문화대로/연구소장) |
3 |
정해 진찬 중 내진찬의 의례절차에 사용된 연주곡에 관한 연구 |
이종숙 (한국전통악무연구소/소장) |
4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몽금척> |
장민하 (국립국악원/지도위원) |
5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헌선도> |
윤연희 (한국전통문화연구원/수석연구원) |
6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수연장> |
김꽃지 (한국전통문화연구원/수석연구원) |
7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향령무> |
이나연 (한국전통문화연구원/연구원) |
8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아박무> |
김꽃지 (한국전통문화연구원/수석연구원) |
9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연백복지무> |
정금희 (한국전통문화연구원/수석연구원) |
10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선유락> |
인남순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원장) |
11 |
정해 진찬의궤의 내진찬 정재 악장 |
이정규 (삼봉가악회/대표) |
저작권자 © 한국스포츠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